[튜토리얼] 파일 업로드부터 자동 버전 관리까지, 직접 만들어 본 스마트 워크플로의 모든 과정
파일 업로드부터 자동 버전 관리까지, 직접 만들어 본 스마트 워크플로의 모든 과정
이 영상은 n8n, Supabase, PostgreSQL을 활용한 최신 래그(Langchain 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시스템 구축 과정을 친절하게 소개합니다. Google 드라이브 폴더를 실시간 감시해 파일 업로드 및 업데이트 시 자동으로 파일 유형을 분석하고, 메타데이터와 함께 벡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워크플로를 3단계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특히, 버전 관리 기능을 통해 파일 변경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점이 인상적이며, 무료 및 유료 커뮤니티를 통해 워크플로 다운로드와 심화 학습도 지원합니다. AI 기반 데이터 관리와 자동화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실용적이고 검증된 방법으로 추천할 만한 영상입니다.
[영상 정보]
- 영상 제목: The Best RAG System On YouTube (Steal This!)
- 채널명: Nate Herk | AI Automation
- 업로드 날짜: 2024-12-07
- 영상 길이: 18:36
[영상에서 사용한 서비스]
- - n8n : https://n8n.io/ — 노코드 워크플로우 자동화 플랫폼
- - Supabase : https://supabase.com/ — 오픈소스 백엔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및 인증 제공
- - Postgres : https://www.postgresql.org/ —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 Skool : https://www.skool.com/ —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 - truehorizon.ai : https://truehorizon.ai/ — AI 에이전트 비즈니스 도입 상담 서비스
- - Razer Kiyo Pro : https://www.razer.com/streaming-cameras/razer-kiyo-pro — 웹캠 카메라
- - HyperX SoloCast : https://www.hyperxgaming.com/unitedstates/us/microphones/solocast-gaming-microphone — USB 콘덴서 마이크
- - YouTube (배경음악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Q7HjxOAU5Kc&t=0s — 배경음악 제공 플랫폼
- - n8n : https://n8n.io — 워크플로우 자동화 및 통합 플랫폼
- - Supabase : https://supabase.com — 오픈소스 백엔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및 인증 관리
- - PostgreSQL : https://www.postgresql.org —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 Google Drive : https://drive.google.com —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파일 저장 및 공유
- - YouTube : https://www.youtube.com — 동영상 공유 플랫폼
[주요 내용]
n8n, Supabase, Postgres를 결합한 래그 시스템으로 Google 드라이브 파일을 자동 감지하고 메타데이터와 벡터 데이터베이스에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친절하게 설명합니다. 업데이트 관리와 버전 기록 처리까지 체계적으로 다루어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워크플로우를 소개합니다.
포스트그레스와 슈퍼베이스를 활용해 래그 에이전트를 단계별로 설정하는 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파일 생성과 업데이트를 감시하며 최적의 텍스트 추출과 메타데이터 관리까지 체계적으로 다루어,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실용적인 가이드입니다.
파일 유형과 메타데이터를 Superbase에 체계적으로 저장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무료 및 유료 커뮤니티에서 워크플로 다운로드와 심화 학습이 가능하며, 매주 업데이트되는 강의와 실시간 소통으로 벡터 데이터베이스 이해를 돕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AI 컨설팅에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해 실제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채팅 기능 활용법을 친절하게 설명합니다. 무료 커뮤니티 도움 사례와 함께, 프로젝트 브리핑 업로드 후 실시간 소통이 가능해지는 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 비즈니스 적용에 유용합니다.
워크플로우 내 중복 트리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친절하게 설명합니다. 두 개의 트리거 중 하나를 비활성화해 혼동을 줄이고, 프로젝트 휠을 활용해 올바른 프로젝트를 불러오는 과정을 단계별로 확인할 수 있어 실무에 도움이 됩니다.
Google 문서에서 텍스트를 추출해 파일 ID와 유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이 방법은 문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변환하고 참조하기 쉽게 만들어, 작업의 정확성과 편리함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Google 드라이브 다운로드 노드를 활용해 파일 형식별로 자동 변환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텍스트는 텍스트 파일로, 그림은 JPEG 슬라이드로, 프레젠테이션은 PowerPoint, 표는 CSV로 변환해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이 방법은 파일을 다시 불러오지 않고도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크게 줄여줍니다.
파일 ID별 규칙 설정부터 PDF 텍스트 추출, Excel 집계 요약, Word 문서 변환까지 단계별 워크플로우를 친절하게 설명합니다. 무료 커뮤니티에서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으로 쉽게 다운로드할 수 있어 실무에 바로 적용하기 좋습니다.
벡터 데이터베이스에 메타데이터를 꼼꼼히 설정하는 과정이 핵심입니다. 파일 ID, 수정 이력, 경로 등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문서 삭제나 교체 시에도 정확한 버전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이런 세밀한 메타데이터 활용이 데이터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이유입니다.
프로젝트 휠의 메타데이터 구조와 주요 기능을 차근차근 살펴보며, 파일 ID와 버전 정보 확인부터 에이전트와의 채팅을 통한 데이터 검증 과정까지 실제 활용법을 친절하게 설명합니다. 데이터 기반으로 프로젝트 관리와 래그 시스템 이해에 도움되는 내용을 담고 있어, 실무에 유용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에서 Project Wheel의 데이터 통합과 자동 동기화 기능을 심층 분석하며, Postgres 데이터베이스에 채팅 기록을 안전하게 저장하는 방식을 객관적으로 설명합니다.
Postgres와 Supabase가 함께 작동하며 메모리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방식을 쉽게 설명합니다. 워크플로 테스트와 프로젝트 수정 과정을 통해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친절하게 안내해 줍니다.
파일 업데이트 과정을 단계별로 확인하며, 버전 관리와 메타데이터 업로드가 어떻게 자동화되는지 친절하게 설명합니다. 특히, 삭제 없이 새 정보가 반영되는 점과 Google 문서 파일의 버전이 V1에서 V2로 자연스럽게 전환되는 과정을 데이터 기반으로 보여줘 실무에 큰 도움이 됩니다.
Project Butter의 발전 과정을 숫자 버전(.2202, .2212)으로 살펴보면, 초기 설계부터 꾸준한 수정과 일관된 유지 관리가 돋보입니다. 이 프로젝트가 어떻게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였는지 객관적인 근거와 함께 이해할 수 있어 흥미롭습니다.
프로젝트 휠 업데이트 과정을 통해 일정 변경과 워크플로 테스트 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실제 데이터를 수정하지 않아도 작동 원리를 확인할 수 있어, 프로젝트 관리와 자동화에 관심 있는 분들께 유용한 팁이 될 거예요.
테스트 후 결과를 꼼꼼히 확인하고 불필요한 부분은 삭제하는 과정을 통해 안정적인 작업 흐름을 유지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특히 프로젝트 휠의 타임라인과 버전 변경, 수정 날짜 확인 과정을 체계적으로 살펴보며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팁을 제공합니다.
필터를 활용해 메타데이터 내 파일 ID를 정확히 찾아내고, 문서 테이블에서 필요한 행만 안전하게 삭제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데이터 정제와 관리에 꼭 필요한 실무 팁을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 도움이 됩니다.
긴 문서에서 여러 벡터가 생성되는 이유와, 버전 관리 시 문자열과 숫자 타입을 구분해 처리하는 방식을 친절하게 설명합니다. 문서 분할과 버전 증가 로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입니다.
버전 번호를 숫자 변수로 변환해 1씩 더하는 방법으로 메타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는 과정을 쉽게 설명합니다. 이 접근법은 버전 관리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여, 실무에서 활용하기 좋은 실용적인 팁입니다.
파일 ID를 유지하면서 버전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특히, 데이터를 다운로드해 문서 기본 로더에 삽입하고 메타데이터를 설정하는 방법을 통해 안정적인 버전 참조가 가능하다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이 과정은 데이터 무결성과 추적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며,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절차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버전 V3 업데이트 후, PDF 파일을 Google 문서에서 다운로드하고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쉽게 설명합니다. 워크플로 테스트를 통해 실제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실용적인 방법을 친절하게 안내해 줍니다.
PDF 파일에서 텍스트를 정확히 추출해 동일한 정보를 재구성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특히 Project Butter라는 초기 버전을 통해 Google 문서 응용프로그램과 연동해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 방식을 설명하며, 실무에서 PDF 텍스트 추출과 데이터베이스 활용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프로덕션 환경에서 불필요한 파일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삭제하는 논리 설계 과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슈퍼베이스와 드라이브 내 파일 ID를 주기적으로 비교해 일치하지 않는 파일을 찾아내는 방법으로,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와 자동화에 도움되는 실용적인 접근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관련 링크: 유튜브 바로가기